HTML preprocessors can make writing HTML more powerful or convenient. For instance, Markdown is designed to be easier to write and read for text documents and you could write a loop in Pug.
In CodePen, whatever you write in the HTML editor is what goes within the <body>
tags in a basic HTML5 template. So you don't have access to higher-up elements like the <html>
tag. If you want to add classes there that can affect the whole document, this is the place to do it.
In CodePen, whatever you write in the HTML editor is what goes within the <body>
tags in a basic HTML5 template. If you need things in the <head>
of the document, put that code here.
The resource you are linking to is using the 'http' protocol, which may not work when the browser is using https.
CSS preprocessors help make authoring CSS easier. All of them offer things like variables and mixins to provide convenient abstractions.
It's a common practice to apply CSS to a page that styles elements such that they are consistent across all browsers. We offer two of the most popular choices: normalize.css and a reset. Or, choose Neither and nothing will be applied.
To get the best cross-browser support, it is a common practice to apply vendor prefixes to CSS properties and values that require them to work. For instance -webkit-
or -moz-
.
We offer two popular choices: Autoprefixer (which processes your CSS server-side) and -prefix-free (which applies prefixes via a script, client-side).
Any URLs added here will be added as <link>
s in order, and before the CSS in the editor. You can use the CSS from another Pen by using its URL and the proper URL extension.
You can apply CSS to your Pen from any stylesheet on the web. Just put a URL to it here and we'll apply it, in the order you have them, before the CSS in the Pen itself.
You can also link to another Pen here (use the .css
URL Extension) and we'll pull the CSS from that Pen and include it. If it's using a matching preprocessor, use the appropriate URL Extension and we'll combine the code before preprocessing, so you can use the linked Pen as a true dependency.
JavaScript preprocessors can help make authoring JavaScript easier and more convenient.
Babel includes JSX processing.
Any URL's added here will be added as <script>
s in order, and run before the JavaScript in the editor. You can use the URL of any other Pen and it will include the JavaScript from that Pen.
You can apply a script from anywhere on the web to your Pen. Just put a URL to it here and we'll add it, in the order you have them, before the JavaScript in the Pen itself.
If the script you link to has the file extension of a preprocessor, we'll attempt to process it before applying.
You can also link to another Pen here, and we'll pull the JavaScript from that Pen and include it. If it's using a matching preprocessor, we'll combine the code before preprocessing, so you can use the linked Pen as a true dependency.
Search for and use JavaScript packages from npm here. By selecting a package, an import
statement will be added to the top of the JavaScript editor for this package.
Using packages here is powered by esm.sh, which makes packages from npm not only available on a CDN, but prepares them for native JavaScript ESM usage.
All packages are different, so refer to their docs for how they work.
If you're using React / ReactDOM, make sure to turn on Babel for the JSX processing.
If active, Pens will autosave every 30 seconds after being saved once.
If enabled, the preview panel updates automatically as you code. If disabled, use the "Run" button to update.
If enabled, your code will be formatted when you actively save your Pen. Note: your code becomes un-folded during formatting.
Visit your global Editor Settings.
<h1>Pretty Scrollbar</h1>
<ol>
<li>윈도우, 리눅스 데스크톱에서도 가로 스크롤바가 예쁘게 나옵니다.</li>
<li>마우스 휠로 스크롤하다가 가로 스크롤 컴포넌트를 만나면 가로로 스크롤됩니다.</li>
<li>가로 스크롤 양 끝에 도달하면 다시 수직으로 스크롤합니다.</li>
</ol>
<div class="container pretty-scrollbar js-horizontal-scroll">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8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3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8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3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8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3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8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3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8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3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8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3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8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3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0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80/200" alt="">
<img src="https://placekitten.com/130/200" alt="">
</div>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끝에 도달하면 수직 스크롤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삽입한 문단.</p>
.pretty-scrollbar {
/* firefox 스크롤바의 색상을 지정합니다. */
scrollbar-color: rgba(0, 0, 0, 0.2) transparent;
/* firefox 스크롤바의 두께를 지정합니다. */
scrollbar-width: thin;
}
.pretty-scrollbar::-webkit-scrollbar {
width: 6px; /* 세로축 스크롤바의 두께 */
height: 6px; /* 가로축 스크롤바의 높이 */
}
.pretty-scrollbar::-webkit-scrollbar-track {
background-color: transparent; /* 스크롤바의 트랙 색상 */
}
.pretty-scrollbar::-webkit-scrollbar-thumb {
border-radius: 3px; /* 스크롤바의 손잡이 모양 */
background-color: rgba(0, 0, 0, 0.2); /* 스크롤바의 손잡이 색상 */
}
.pretty-scrollbar::-webkit-scrollbar-button {
display: none; /* 스크롤바의 버튼을 숨김 */
}
/* extra */
.container {
max-width: 600px;
overflow-x: scroll;
display: flex;
gap: 20px;
/* 데스크톱 브라우저에서 부드러운 스크롤 */
scroll-behavior: smooth;
}
document.querySelectorAll(".js-horizontal-scroll").forEach(el => {
el.addEventListener("wheel", e => {
// 스크롤이 왼쪽 또는 오른쪽 끝에 도달했는지 확인
const atLeftEnd = (el.scrollLeft === 0);
// 논리상으로는 ===로 하는 게 맞겠지만, 브라우저에 따라 클 수도 있다고 하니 이렇게 둔다.
const atRightEnd = (el.scrollLeft + el.offsetWidth >= el.scrollWidth);
// 휠 이벤트가 위로 가는 것인지 아래로 가는 것인지 확인
const scrollingUp = (e.deltaY < 0);
const scrollingDown = (e.deltaY > 0);
if ((atLeftEnd && scrollingUp) || (atRightEnd && scrollingDown)) {
// 스크롤이 양 끝에 있고 사용자가 해당 방향으로 계속 스크롤하려고 하면,
// 이벤트의 기본 동작을 수행하여 수직 스크론을 허용합니다.
return;
}
// 그렇지 않으면, 가로 스크롤을 진행합니다.
e.preventDefault();
// noinspection JSSuspiciousNameCombination
el.scrollLeft += e.deltaY * 2;
})
});
Also see: Tab Triggers